연혁·지역특성
연혁
의성군 서남부에 위치하는데 면적은 43㎢의 999세대, 인구 1,938명, 법정 10개리, 행정 24개리로 구성되어 있다.
동쪽은 비안면. 서쪽은 단밀면 북쪽은 안계면과 단북면, 남쪽은 군위군 소보면 서남쪽은 구미시 도개면과 경계를 이루고 북으로는 위천이 굽이쳐 흐르고 남으로는 청화산.서쪽은 만경산이 높게 바라보인다.
원래는 비안군에 속하였으나 1907년 6월1일 의성군으로 편입되었다.
1914년 3월1일 부령 제1111호(1913. 12. 29 공포)에 의거 내서면(구천.산구.용점.용천,조성,신촌,조개 흥암.모고.흥전 등 10개리) 외서면(하리,팔미,천동,가리,율지,원산,내동, 유산,비산등 9개리) 단동면(상국,중국,하국,장곡,소리,청신,조율,간제,하사,상제.용신 등11개리)을 합하여 구천면(위성.조성,모흥,소호,미천,유산,내산,장국,용사등9개리) 으로 개칭하였으며 1987년 1월1일부로 선산군의 청산리(백운,청운동)가 편입되어 현재와 같이 구성되었다.
지역특성
위치 및 지형
군청으로부터 서남방 32km 지점에 위치
저수량 3,596.8천톤 조성지로 인한 수리안전 농업
황토에서 생산된 일품미, 고품질 산사과, 복숭아, 자두 등으로 농가 고소득
만수면적 60ha. 해발700.7m의 장엄한 청화산
천년고찰 정수사 등 문화 관광자원 보유
지방도 923호(군위소보면까지)군도18호선(구미도개면까지)
2차선 포장 완공으로 교통 원활
특이사항
산사과가 주축을 이루며 특히 윤기 있는 황토쌀, 꿀배, 복숭아, 자두등이 유명하고 조계종 제16교구 말사인 정수사가 위치하고 있으며, 저수량 360여만톤의 조성지가 자리하고 있다.
명칭유래
구천면의 명칭 유래는 구천서원(龜川書院)에서 유래하였다. 1721년(경종1 신축)에 세워진 이 서원은 1868년(고종5-무진)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따라 없어지고 지금은 그 자리에 육선생매판소(위성2리 마을안 위치)라는 비석만이 남아 있다. 구천면 소재지는 위성리(산구)에 있었는데 8.15해방 직후에 면의 중심부가 되는 지금의 유산리로 옮겨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