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현황
인구 및 세대수
인구 및 세대수
인구수 |
세대수 |
계 |
남 |
여 |
계 |
농가 |
비농가 |
1,910 |
952 |
958 |
1,158 |
710 |
448 |
면적
면적
합계 |
전 |
답 |
대지 |
임야 |
과수원 |
기타 |
74.15 |
5.73 |
4.15 |
0.53 |
61.08 |
2.22 |
0.46 |
행정구역
법정리 9개리(행정리 15개리, 62반, 32자연부락)
상징(기)
단촌면 상징기
바탕의 청색은 하늘을, 적색타원형은 단촌면의 화합과 단결을 상징
횃불을 중심으로 뻗어나오는 9개의 적색선은 단촌면의 9개 법정리를 표현
"더불어 살아가는 아름다운 단촌건설”이라는 면훈을 바탕으로 하늘 아래 단촌면의 9개리가 더불어 함께 횃불처럼 타오르라는 뜻임
역대읍·면장
역대읍면장
대수 |
성명 |
재임기간 |
대수 |
성명 |
재임기간 |
1대 |
김세환 |
1906. 7.28 ~ 1914.12.17 |
20대 |
김종만 |
1971. 9.23 ~ 1972. 9.27 |
2대 |
이윤상 |
1915. 1.20 ~ 1923. 1.20 |
21대 |
손양섭 |
1972. 9.28 ~ 1973. 5.18 |
3대 |
김필주 |
1923.12.22 ~ 1926. 1.31 |
22대 |
황보권 |
1973. 5.26 ~ 1975. 5. 2 |
4대 |
유정훈 |
1926. 2. 1 ~ 1933. 5.30 |
23대 |
전태호 |
1975. 5. 3 ~ 1979. 3. 9 |
5대 |
김윤필 |
1933. 5.31 ~ 1943. 3.31 |
24대 |
고정삼 |
1979. 3.10 ~ 1981.12. 2 |
6대 |
남상기 |
1943. 11.18 ~ 1945. 8.15 |
25대 |
이종태 |
1981.12. 3 ~ 1989. 6.10 |
7대 |
마정락 |
1946. 3. 2 ~ 1947. 4.20 |
26대 |
김치윤 |
1989. 6.10 ~ 1994. 6. 9 |
8대 |
김세찬 |
1947. 5. 1 ~ 1948.12.31 |
27대 |
권경균 |
1995. 1. 1 ~ 1998. 6.30 |
9대 |
김진성 |
1949. 2. 1 ~ 1950. 7.11 |
28대 |
김규환 |
1998.10.12 ~ 2002. 1. 1 |
10대 |
오영수 |
1950. 7.11 ~ 1951. 6.20 |
29대 |
장명호 |
2002. 1. 2 ~ 2005. 12.31 |
11대 |
김순용 |
1951. 6.29 ~ 1952. 5. 4 |
30대 |
류경수 |
2006. 1.16 ~ 2006.11.13 |
12대 |
서경석 |
1952. 5. 5 ~ 1953. 7. 8 |
31대 |
권광호 |
2006.11.13~2009. 7.12 |
13대 |
마용락 |
1960.12.26 ~ 1961. 6.20 |
32대 |
류장영 |
2009. 7.13~2011. 6.30 |
14대 |
신찬조 |
1957. 7. 9 ~ 1960. 7. 8 |
33대 |
나채웅 |
2011. 7. 1~ 2012. 7. 8 |
15대 |
이선우 |
1960. 8.17 ~ 1960.11.30 |
34대 |
손철규 |
2012. 7. 9~ 2014. 6.30 |
16대 |
마용락 |
1960.12.26 ~ 1961. 6.20 |
35대 |
박종구 |
2014. 8. 4 ~ 2015. 7.21. |
17대 |
허외식 |
1961. 7. 9 ~ 1965.10.18 |
36대 |
김신묵 |
2015. 7.22 ~ 2016.12.31 |
18대 |
김재극 |
1965.10.22 ~ 1971. 1. 4 |
37대 |
마창운 |
2017. 1. 1 ~ 2018.12.31. |
19대 |
손양섭 |
1971. 1. 8 ~ 1971. 9.22 |
38대 |
김승호 |
2019. 1. 1 ~ 2020. 7. 8 |
|
|
| 39대 | 김광철 | 2020. 7. 9. ~ 현재 |
연혁·지역특성
연혁
고려 태조 7년(925년) 안동지방의 옛이름 고창군의 영속이던 고순현(단촌지방)이 의성부에 편입
1600년 붉은 돌이 많은 곳이라 단촌면(丹村面)으로 명명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단촌면 5개리와 구산면 4개리를 병합
지역특성
위치 및 지형
본군의 북쪽에 위치하고 있는 산간지대이며 중앙선 철도와 대구-안동간 4차선 국도가 남북으로 관통하여 교통이 편리함. 평균 강우량과 기온이 군 평균보다 낮으며 한서의 차가 심해 고추, 마늘, 양파, 사과 등 특용작물 재배 적지임
특이사항
고추의 집산지이며 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가 위치하고 있으며 의성군의 북쪽 관문으로 새벽 고추시장이 열리고 있음
명칭유래
붉은 돌이 많은 곳이라는 뜻으로 의성군의 북부에 위치하고 있다. 면적 74.22㎢이다. 인구 2,359명 9개동으로 구성되며 동쪽으로 점곡면, 서쪽으로 안평면, 남쪽으로 의성읍, 북쪽으로 안동시 일직면, 남선면을 각각 접한다. 본래 의성군 지역으로 단촌면이라 하여, 9개리로 관할하였으나 1914년 군면 통폐합으로 11개리와 점곡면의 일부, 안동시 일직면의 일부, 남선면의 일부를 병합하여 다시 단촌면이라 하였다. 면의 대부분이 높이 100∼350m의 구릉성 산지를 이루고 중앙부를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미천을 따라 넓고 비옥한 평야가 전개되어 있다.
단체현황
단체현황
단체명 |
대표자 |
주소 |
비고 |
이장협의회 |
류용하 |
장림1길 |
- |
새마을지도자협의회 |
김원채 |
방하1길 |
- |
새마을부녀회 |
박명숙 |
신기안길 |
- |
바르게살기협의회 |
황해기 |
신기길 |
- |
농촌지도자회 | 김광수 | 방하1길 | -
|
자율방범대 | 김만석 | 방하1길 | -
|
의용소방대 |
권웅기 |
고운사길 |
- |
농가주부모임회
| 이금늠 | 고운길 | -
|
생활개선회 |
이명애 |
행화길 |
- |
유도회 | 유고하 | 고운길 | -
|
장애인협회 |
김길수 |
병방길 |
- |
노인회 |
권오식 |
고운길 | - |
선관위원장 |
배무웅 |
신기안길 |
- |
시장상인회장 |
김창년 |
장터길 |
- |
주민자치회 | 마창운 | 수일상길 | -
|
공공기관
공공기관
기관명 |
대표자 |
주소 |
전화번호 |
단촌 우체국 |
김상락 |
장터길 20-1 |
☎ 833-2000 |
새의성농협단촌지점 |
이호우 |
신기길 21 |
☎ 833-1889 |
단촌치안센터 |
황경호 |
신기길 29 |
☎ 833-2112 |
교육기관
교육기관 정보
학교명 |
주소 |
학급수 |
전화번호 |
홈페이지 |
단촌초등학교 |
신기길 42 |
5 |
☎ 833-2515 |
바로가기 |
기업체현황
기업체현황 정보
업체명 |
대표자 |
주소 |
생산품목 |
전화번호 |
한국애플리즈(주) |
한임섭 |
일직점곡로 755 |
주지몽, 와인 |
☎ 834-7800~1 |
동성환경산업(주) |
이재업 |
북부길 466-133 |
산업폐기물 |
☎ 833-1231~3 |
삼성산업(주) |
허규판 |
경북대로 6323-32 |
전신주, 침목 |
☎ 832-5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