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람사 삼층석탑
소개운람사 보광전 뒤편(서남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대석이 땅에 묻혀있는 단층기단의 3층석탑으로 높이는 3.39m이다. 기
단부는 기대석이 매몰되어 알 수 없고 면석위에 갑석이 올려져 기단을 형성하고 있다. 갑석은 2매 석(枚石)으로 되었으며 부연이
없고 윗면에 호형(弧形)의 2단 옥신괴임이 몰딩되어 있다. 옥신에는 각기 우주가 모각되어 있으며 1층 옥신과 2층옥신의 높이에
대한 체감비가 1 : 2 정도로 감소가 현저하다. 옥개석의 낙수면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처마는 수평이며 반전이 약간 심한
편이다. 옥개받침은 각각 4단씩이며 옥정에는 호영의 2단 옥신괴임이 조각되어 있다.옥단석과 옥신의 구성이 안정감을
주고 옥개석 처마의 반전이 경쾌한 느낌을 풍기고 있다. 상륜부는 노반(露盤), 복발(覆鉢), 보륜(寶輪) 1개만 남아있고 그
이상은 망실되어 있다. 기단부와 상륜부가 완전한 상태를 갖추고 있지 않지만 단층기단의 탑신이 균형을 이루고 경쾌한 리듬을 지닌
아름다운 탑으로, 전체의 조화와 조각기법 및 단층기단등에서 볼 때 신라말이나 고려초의 석탑으로 추정된다.
정보내용소개운람사 보광전 뒤편(서남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대석이 땅에 묻혀있는 단층기단의 3층석탑으로 높이는 3.39m이다. 기
단부는 기대석이 매몰되어 알 수 없고 면석위에 갑석이 올려져 기단을 형성하고 있다. 갑석은 2매 석(枚石)으로 되었으며 부연이
없고 윗면에 호형(弧形)의 2단 옥신괴임이 몰딩되어 있다. 옥신에는 각기 우주가 모각되어 있으며 1층 옥신과 2층옥신의 높이에
대한 체감비가 1 : 2 정도로 감소가 현저하다. 옥개석의 낙수면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처마는 수평이며 반전이 약간 심한
편이다. 옥개받침은 각각 4단씩이며 옥정에는 호영의 2단 옥신괴임이 조각되어 있다.옥단석과 옥신의 구성이 안정감을
주고 옥개석 처마의 반전이 경쾌한 느낌을 풍기고 있다. 상륜부는 노반(露盤), 복발(覆鉢), 보륜(寶輪) 1개만 남아있고 그
이상은 망실되어 있다. 기단부와 상륜부가 완전한 상태를 갖추고 있지 않지만 단층기단의 탑신이 균형을 이루고 경쾌한 리듬을 지닌
아름다운 탑으로, 전체의 조화와 조각기법 및 단층기단등에서 볼 때 신라말이나 고려초의 석탑으로 추정된다.
정보내용소개운람사 보광전 뒤편(서남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대석이 땅에 묻혀있는 단층기단의 3층석탑으로 높이는 3.39m이다. 기
단부는 기대석이 매몰되어 알 수 없고 면석위에 갑석이 올려져 기단을 형성하고 있다. 갑석은 2매 석(枚石)으로 되었으며 부연이
없고 윗면에 호형(弧形)의 2단 옥신괴임이 몰딩되어 있다. 옥신에는 각기 우주가 모각되어 있으며 1층 옥신과 2층옥신의 높이에
대한 체감비가 1 : 2 정도로 감소가 현저하다. 옥개석의 낙수면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처마는 수평이며 반전이 약간 심한
편이다. 옥개받침은 각각 4단씩이며 옥정에는 호영의 2단 옥신괴임이 조각되어 있다.옥단석과 옥신의 구성이 안정감을
주고 옥개석 처마의 반전이 경쾌한 느낌을 풍기고 있다. 상륜부는 노반(露盤), 복발(覆鉢), 보륜(寶輪) 1개만 남아있고 그
이상은 망실되어 있다. 기단부와 상륜부가 완전한 상태를 갖추고 있지 않지만 단층기단의 탑신이 균형을 이루고 경쾌한 리듬을 지닌
아름다운 탑으로, 전체의 조화와 조각기법 및 단층기단등에서 볼 때 신라말이나 고려초의 석탑으로 추정된다.
정보내용소개운람사 보광전 뒤편(서남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대석이 땅에 묻혀있는 단층기단의 3층석탑으로 높이는 3.39m이다. 기
단부는 기대석이 매몰되어 알 수 없고 면석위에 갑석이 올려져 기단을 형성하고 있다. 갑석은 2매 석(枚石)으로 되었으며 부연이
없고 윗면에 호형(弧形)의 2단 옥신괴임이 몰딩되어 있다. 옥신에는 각기 우주가 모각되어 있으며 1층 옥신과 2층옥신의 높이에
대한 체감비가 1 : 2 정도로 감소가 현저하다. 옥개석의 낙수면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처마는 수평이며 반전이 약간 심한
편이다. 옥개받침은 각각 4단씩이며 옥정에는 호영의 2단 옥신괴임이 조각되어 있다.옥단석과 옥신의 구성이 안정감을
주고 옥개석 처마의 반전이 경쾌한 느낌을 풍기고 있다. 상륜부는 노반(露盤), 복발(覆鉢), 보륜(寶輪) 1개만 남아있고 그
이상은 망실되어 있다. 기단부와 상륜부가 완전한 상태를 갖추고 있지 않지만 단층기단의 탑신이 균형을 이루고 경쾌한 리듬을 지닌
아름다운 탑으로, 전체의 조화와 조각기법 및 단층기단등에서 볼 때 신라말이나 고려초의 석탑으로 추정된다.
정보내용소개운람사 보광전 뒤편(서남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대석이 땅에 묻혀있는 단층기단의 3층석탑으로 높이는 3.39m이다. 기
단부는 기대석이 매몰되어 알 수 없고 면석위에 갑석이 올려져 기단을 형성하고 있다. 갑석은 2매 석(枚石)으로 되었으며 부연이
없고 윗면에 호형(弧形)의 2단 옥신괴임이 몰딩되어 있다. 옥신에는 각기 우주가 모각되어 있으며 1층 옥신과 2층옥신의 높이에
대한 체감비가 1 : 2 정도로 감소가 현저하다. 옥개석의 낙수면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처마는 수평이며 반전이 약간 심한
편이다. 옥개받침은 각각 4단씩이며 옥정에는 호영의 2단 옥신괴임이 조각되어 있다.옥단석과 옥신의 구성이 안정감을
주고 옥개석 처마의 반전이 경쾌한 느낌을 풍기고 있다. 상륜부는 노반(露盤), 복발(覆鉢), 보륜(寶輪) 1개만 남아있고 그
이상은 망실되어 있다. 기단부와 상륜부가 완전한 상태를 갖추고 있지 않지만 단층기단의 탑신이 균형을 이루고 경쾌한 리듬을 지닌
아름다운 탑으로, 전체의 조화와 조각기법 및 단층기단등에서 볼 때 신라말이나 고려초의 석탑으로 추정된다.
정보내용소개운람사 보광전 뒤편(서남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대석이 땅에 묻혀있는 단층기단의 3층석탑으로 높이는 3.39m이다. 기
단부는 기대석이 매몰되어 알 수 없고 면석위에 갑석이 올려져 기단을 형성하고 있다. 갑석은 2매 석(枚石)으로 되었으며 부연이
없고 윗면에 호형(弧形)의 2단 옥신괴임이 몰딩되어 있다. 옥신에는 각기 우주가 모각되어 있으며 1층 옥신과 2층옥신의 높이에
대한 체감비가 1 : 2 정도로 감소가 현저하다. 옥개석의 낙수면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처마는 수평이며 반전이 약간 심한
편이다. 옥개받침은 각각 4단씩이며 옥정에는 호영의 2단 옥신괴임이 조각되어 있다.옥단석과 옥신의 구성이 안정감을
주고 옥개석 처마의 반전이 경쾌한 느낌을 풍기고 있다. 상륜부는 노반(露盤), 복발(覆鉢), 보륜(寶輪) 1개만 남아있고 그
이상은 망실되어 있다. 기단부와 상륜부가 완전한 상태를 갖추고 있지 않지만 단층기단의 탑신이 균형을 이루고 경쾌한 리듬을 지닌
아름다운 탑으로, 전체의 조화와 조각기법 및 단층기단등에서 볼 때 신라말이나 고려초의 석탑으로 추정된다.
정보내용소개운람사 보광전 뒤편(서남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대석이 땅에 묻혀있는 단층기단의 3층석탑으로 높이는 3.39m이다. 기
단부는 기대석이 매몰되어 알 수 없고 면석위에 갑석이 올려져 기단을 형성하고 있다. 갑석은 2매 석(枚石)으로 되었으며 부연이
없고 윗면에 호형(弧形)의 2단 옥신괴임이 몰딩되어 있다. 옥신에는 각기 우주가 모각되어 있으며 1층 옥신과 2층옥신의 높이에
대한 체감비가 1 : 2 정도로 감소가 현저하다. 옥개석의 낙수면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처마는 수평이며 반전이 약간 심한
편이다. 옥개받침은 각각 4단씩이며 옥정에는 호영의 2단 옥신괴임이 조각되어 있다.옥단석과 옥신의 구성이 안정감을
주고 옥개석 처마의 반전이 경쾌한 느낌을 풍기고 있다. 상륜부는 노반(露盤), 복발(覆鉢), 보륜(寶輪) 1개만 남아있고 그
이상은 망실되어 있다. 기단부와 상륜부가 완전한 상태를 갖추고 있지 않지만 단층기단의 탑신이 균형을 이루고 경쾌한 리듬을 지닌
아름다운 탑으로, 전체의 조화와 조각기법 및 단층기단등에서 볼 때 신라말이나 고려초의 석탑으로 추정된다.
정보내용
오경우 2014-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