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빙산사지오층석탑
소개단층인 기단부(基壇部)에서 지대석은 16개의 돌로 이루어졌으며, 기단의 가운뎃돌은 안기둥인 탱주(撐柱)와 귀기둥인 우주(隅柱), 그리고 면석 모두를 각각 낱개의 돌로 구성하였다. 기단의 맨 윗돌인 갑석은 8개의 돌로 되어 있고 그 위로 탑신을 받치기 위해 굄돌을 높게 배치하였다. 탑신부(塔身部)에서 초층 옥신석에는 탱주(撐柱)나 우주(隅柱)를 배치하지 않았으며, 정면에 감실(龕室)을 설치하였다. 2층 이상부터 옥신석은 그 높이가 1층에 비해 반 이상 줄었으며, 5개의 옥개석은 그 형태가 벽돌로 쌓아올린 전탑(塼塔)처럼 낙수면과 받침에 층단을 나타내었는데, 낙수면의 층단은 모두 5단이며, 층급받침은 4단이다. 상륜부(相輪部)는 현재 노반(露盤)만이 남아있다. 의성탑리오층석탑을 모방한 것으로 보이나, 규모가 좀 더 작고 간략하게 제작되었다.
참고 : 경상북도 문화재대관
정보
종목별 지정번호 보물 327호
명칭 의성빙산사지오층석탑 (義城氷山寺址五層石塔)
분류 탑
수량 1기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 산70
시대 남북국(통일신라)말~고려초
소유자 국유
관리자 의성군
내용소개단층인 기단부(基壇部)에서 지대석은 16개의 돌로 이루어졌으며, 기단의 가운뎃돌은 안기둥인 탱주(撐柱)와 귀기둥인 우주(隅柱), 그리고 면석 모두를 각각 낱개의 돌로 구성하였다. 기단의 맨 윗돌인 갑석은 8개의 돌로 되어 있고 그 위로 탑신을 받치기 위해 굄돌을 높게 배치하였다. 탑신부(塔身部)에서 초층 옥신석에는 탱주(撐柱)나 우주(隅柱)를 배치하지 않았으며, 정면에 감실(龕室)을 설치하였다. 2층 이상부터 옥신석은 그 높이가 1층에 비해 반 이상 줄었으며, 5개의 옥개석은 그 형태가 벽돌로 쌓아올린 전탑(塼塔)처럼 낙수면과 받침에 층단을 나타내었는데, 낙수면의 층단은 모두 5단이며, 층급받침은 4단이다. 상륜부(相輪部)는 현재 노반(露盤)만이 남아있다. 의성탑리오층석탑을 모방한 것으로 보이나, 규모가 좀 더 작고 간략하게 제작되었다.
참고 : 경상북도 문화재대관
정보
종목별 지정번호 보물 327호
명칭 의성빙산사지오층석탑 (義城氷山寺址五層石塔)
분류 탑
수량 1기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 산70
시대 남북국(통일신라)말~고려초
소유자 국유
관리자 의성군
내용소개단층인 기단부(基壇部)에서 지대석은 16개의 돌로 이루어졌으며, 기단의 가운뎃돌은 안기둥인 탱주(撐柱)와 귀기둥인 우주(隅柱), 그리고 면석 모두를 각각 낱개의 돌로 구성하였다. 기단의 맨 윗돌인 갑석은 8개의 돌로 되어 있고 그 위로 탑신을 받치기 위해 굄돌을 높게 배치하였다. 탑신부(塔身部)에서 초층 옥신석에는 탱주(撐柱)나 우주(隅柱)를 배치하지 않았으며, 정면에 감실(龕室)을 설치하였다. 2층 이상부터 옥신석은 그 높이가 1층에 비해 반 이상 줄었으며, 5개의 옥개석은 그 형태가 벽돌로 쌓아올린 전탑(塼塔)처럼 낙수면과 받침에 층단을 나타내었는데, 낙수면의 층단은 모두 5단이며, 층급받침은 4단이다. 상륜부(相輪部)는 현재 노반(露盤)만이 남아있다. 의성탑리오층석탑을 모방한 것으로 보이나, 규모가 좀 더 작고 간략하게 제작되었다.
참고 : 경상북도 문화재대관
정보
종목별 지정번호 보물 327호
명칭 의성빙산사지오층석탑 (義城氷山寺址五層石塔)
분류 탑
수량 1기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 산70
시대 남북국(통일신라)말~고려초
소유자 국유
관리자 의성군
내용소개단층인 기단부(基壇部)에서 지대석은 16개의 돌로 이루어졌으며, 기단의 가운뎃돌은 안기둥인 탱주(撐柱)와 귀기둥인 우주(隅柱), 그리고 면석 모두를 각각 낱개의 돌로 구성하였다. 기단의 맨 윗돌인 갑석은 8개의 돌로 되어 있고 그 위로 탑신을 받치기 위해 굄돌을 높게 배치하였다. 탑신부(塔身部)에서 초층 옥신석에는 탱주(撐柱)나 우주(隅柱)를 배치하지 않았으며, 정면에 감실(龕室)을 설치하였다. 2층 이상부터 옥신석은 그 높이가 1층에 비해 반 이상 줄었으며, 5개의 옥개석은 그 형태가 벽돌로 쌓아올린 전탑(塼塔)처럼 낙수면과 받침에 층단을 나타내었는데, 낙수면의 층단은 모두 5단이며, 층급받침은 4단이다. 상륜부(相輪部)는 현재 노반(露盤)만이 남아있다. 의성탑리오층석탑을 모방한 것으로 보이나, 규모가 좀 더 작고 간략하게 제작되었다.
참고 : 경상북도 문화재대관
정보
종목별 지정번호 보물 327호
명칭 의성빙산사지오층석탑 (義城氷山寺址五層石塔)
분류 탑
수량 1기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 산70
시대 남북국(통일신라)말~고려초
소유자 국유
관리자 의성군
내용소개단층인 기단부(基壇部)에서 지대석은 16개의 돌로 이루어졌으며, 기단의 가운뎃돌은 안기둥인 탱주(撐柱)와 귀기둥인 우주(隅柱), 그리고 면석 모두를 각각 낱개의 돌로 구성하였다. 기단의 맨 윗돌인 갑석은 8개의 돌로 되어 있고 그 위로 탑신을 받치기 위해 굄돌을 높게 배치하였다. 탑신부(塔身部)에서 초층 옥신석에는 탱주(撐柱)나 우주(隅柱)를 배치하지 않았으며, 정면에 감실(龕室)을 설치하였다. 2층 이상부터 옥신석은 그 높이가 1층에 비해 반 이상 줄었으며, 5개의 옥개석은 그 형태가 벽돌로 쌓아올린 전탑(塼塔)처럼 낙수면과 받침에 층단을 나타내었는데, 낙수면의 층단은 모두 5단이며, 층급받침은 4단이다. 상륜부(相輪部)는 현재 노반(露盤)만이 남아있다. 의성탑리오층석탑을 모방한 것으로 보이나, 규모가 좀 더 작고 간략하게 제작되었다.
참고 : 경상북도 문화재대관
정보
종목별 지정번호 보물 327호
명칭 의성빙산사지오층석탑 (義城氷山寺址五層石塔)
분류 탑
수량 1기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 산70
시대 남북국(통일신라)말~고려초
소유자 국유
관리자 의성군
내용소개단층인 기단부(基壇部)에서 지대석은 16개의 돌로 이루어졌으며, 기단의 가운뎃돌은 안기둥인 탱주(撐柱)와 귀기둥인 우주(隅柱), 그리고 면석 모두를 각각 낱개의 돌로 구성하였다. 기단의 맨 윗돌인 갑석은 8개의 돌로 되어 있고 그 위로 탑신을 받치기 위해 굄돌을 높게 배치하였다. 탑신부(塔身部)에서 초층 옥신석에는 탱주(撐柱)나 우주(隅柱)를 배치하지 않았으며, 정면에 감실(龕室)을 설치하였다. 2층 이상부터 옥신석은 그 높이가 1층에 비해 반 이상 줄었으며, 5개의 옥개석은 그 형태가 벽돌로 쌓아올린 전탑(塼塔)처럼 낙수면과 받침에 층단을 나타내었는데, 낙수면의 층단은 모두 5단이며, 층급받침은 4단이다. 상륜부(相輪部)는 현재 노반(露盤)만이 남아있다. 의성탑리오층석탑을 모방한 것으로 보이나, 규모가 좀 더 작고 간략하게 제작되었다.
참고 : 경상북도 문화재대관
정보
종목별 지정번호 보물 327호
명칭 의성빙산사지오층석탑 (義城氷山寺址五層石塔)
분류 탑
수량 1기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 산70
시대 남북국(통일신라)말~고려초
소유자 국유
관리자 의성군
내용소개단층인 기단부(基壇部)에서 지대석은 16개의 돌로 이루어졌으며, 기단의 가운뎃돌은 안기둥인 탱주(撐柱)와 귀기둥인 우주(隅柱), 그리고 면석 모두를 각각 낱개의 돌로 구성하였다. 기단의 맨 윗돌인 갑석은 8개의 돌로 되어 있고 그 위로 탑신을 받치기 위해 굄돌을 높게 배치하였다. 탑신부(塔身部)에서 초층 옥신석에는 탱주(撐柱)나 우주(隅柱)를 배치하지 않았으며, 정면에 감실(龕室)을 설치하였다. 2층 이상부터 옥신석은 그 높이가 1층에 비해 반 이상 줄었으며, 5개의 옥개석은 그 형태가 벽돌로 쌓아올린 전탑(塼塔)처럼 낙수면과 받침에 층단을 나타내었는데, 낙수면의 층단은 모두 5단이며, 층급받침은 4단이다. 상륜부(相輪部)는 현재 노반(露盤)만이 남아있다. 의성탑리오층석탑을 모방한 것으로 보이나, 규모가 좀 더 작고 간략하게 제작되었다.
참고 : 경상북도 문화재대관
정보
종목별 지정번호 보물 327호
명칭 의성빙산사지오층석탑 (義城氷山寺址五層石塔)
분류 탑
수량 1기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 산70
시대 남북국(통일신라)말~고려초
소유자 국유
관리자 의성군
내용
김소라 2014-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