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만록(征蠻錄)
소개조선 선조 때 경상감사의 막하 참모였던 이탁영(1541∼1610)의 일기로 건(乾)·곤(坤)의 순서를 단 2권 2책으로 되어 있다. 이탁영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순찰사였던 김수의 막하로 들어가 참모로 활동했으며, 1593년에는 학봉 김성일의 막하에서 전쟁의 여러 전술을 건의하여 승리에 공헌한 바가 많았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나라에서 내리는 상을 굳이 사양하였고, 후에 중추부사에 증직되었다.
이것은 1592∼1598년까지의 일기로 건권은 표지 뒷면에 임진왜란 당시 참전한 영상 이하 여러 관리들의 좌목(座目:자리의 차례를 적은 목록)이 있고, 다음에 ‘임진변생후일록’이라는 제목 아래에 그날그날 보고 듣고 겪은 일들을 적고 있다. 다만 임진기사는 날마다 기록하였고, 1593년에서 1598년까지는 연월중심으로 중요한 사건만 적었다.
곤권은 임진왜란의 시작과 하루하루의 기록, 통문 등을 기록하게 된 이유를 적고, 이어 7년 동안에 있었던 중요한 교서, 통문, 격문 등을 고스란히 싣고 있다. 1592년 4월 14일 임진왜란이 시작된 날로부터 시작하여 그해 연말까지는 약 10일간 기록하지 아니한 것을 제외하면 완전하게 적혀있다.
이 책은 임진왜란 연구의 매우 귀중한 사료로 평가되며,‘정만록’이라는 책이름이 선조임금이 정해준 것이라는 점에서 자료로서의 가치가 더해진다.
※현재 한국국학진흥원에 위탁보관 중
정보
종목별 정번호 보물 제880호
명칭 정만록(征蠻錄)
분류 전적류
수량 2권2책
지정일 1986.10.15
소재지 경북 의성군 의성읍 상리리 579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경주이씨문중
관리자 이진우
내용소개조선 선조 때 경상감사의 막하 참모였던 이탁영(1541∼1610)의 일기로 건(乾)·곤(坤)의 순서를 단 2권 2책으로 되어 있다. 이탁영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순찰사였던 김수의 막하로 들어가 참모로 활동했으며, 1593년에는 학봉 김성일의 막하에서 전쟁의 여러 전술을 건의하여 승리에 공헌한 바가 많았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나라에서 내리는 상을 굳이 사양하였고, 후에 중추부사에 증직되었다.
이것은 1592∼1598년까지의 일기로 건권은 표지 뒷면에 임진왜란 당시 참전한 영상 이하 여러 관리들의 좌목(座目:자리의 차례를 적은 목록)이 있고, 다음에 ‘임진변생후일록’이라는 제목 아래에 그날그날 보고 듣고 겪은 일들을 적고 있다. 다만 임진기사는 날마다 기록하였고, 1593년에서 1598년까지는 연월중심으로 중요한 사건만 적었다.
곤권은 임진왜란의 시작과 하루하루의 기록, 통문 등을 기록하게 된 이유를 적고, 이어 7년 동안에 있었던 중요한 교서, 통문, 격문 등을 고스란히 싣고 있다. 1592년 4월 14일 임진왜란이 시작된 날로부터 시작하여 그해 연말까지는 약 10일간 기록하지 아니한 것을 제외하면 완전하게 적혀있다.
이 책은 임진왜란 연구의 매우 귀중한 사료로 평가되며,‘정만록’이라는 책이름이 선조임금이 정해준 것이라는 점에서 자료로서의 가치가 더해진다.
※현재 한국국학진흥원에 위탁보관 중
정보
종목별 정번호 보물 제880호
명칭 정만록(征蠻錄)
분류 전적류
수량 2권2책
지정일 1986.10.15
소재지 경북 의성군 의성읍 상리리 579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경주이씨문중
관리자 이진우
내용소개조선 선조 때 경상감사의 막하 참모였던 이탁영(1541∼1610)의 일기로 건(乾)·곤(坤)의 순서를 단 2권 2책으로 되어 있다. 이탁영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순찰사였던 김수의 막하로 들어가 참모로 활동했으며, 1593년에는 학봉 김성일의 막하에서 전쟁의 여러 전술을 건의하여 승리에 공헌한 바가 많았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나라에서 내리는 상을 굳이 사양하였고, 후에 중추부사에 증직되었다.
이것은 1592∼1598년까지의 일기로 건권은 표지 뒷면에 임진왜란 당시 참전한 영상 이하 여러 관리들의 좌목(座目:자리의 차례를 적은 목록)이 있고, 다음에 ‘임진변생후일록’이라는 제목 아래에 그날그날 보고 듣고 겪은 일들을 적고 있다. 다만 임진기사는 날마다 기록하였고, 1593년에서 1598년까지는 연월중심으로 중요한 사건만 적었다.
곤권은 임진왜란의 시작과 하루하루의 기록, 통문 등을 기록하게 된 이유를 적고, 이어 7년 동안에 있었던 중요한 교서, 통문, 격문 등을 고스란히 싣고 있다. 1592년 4월 14일 임진왜란이 시작된 날로부터 시작하여 그해 연말까지는 약 10일간 기록하지 아니한 것을 제외하면 완전하게 적혀있다.
이 책은 임진왜란 연구의 매우 귀중한 사료로 평가되며,‘정만록’이라는 책이름이 선조임금이 정해준 것이라는 점에서 자료로서의 가치가 더해진다.
※현재 한국국학진흥원에 위탁보관 중
정보
종목별 정번호 보물 제880호
명칭 정만록(征蠻錄)
분류 전적류
수량 2권2책
지정일 1986.10.15
소재지 경북 의성군 의성읍 상리리 579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경주이씨문중
관리자 이진우
내용소개조선 선조 때 경상감사의 막하 참모였던 이탁영(1541∼1610)의 일기로 건(乾)·곤(坤)의 순서를 단 2권 2책으로 되어 있다. 이탁영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순찰사였던 김수의 막하로 들어가 참모로 활동했으며, 1593년에는 학봉 김성일의 막하에서 전쟁의 여러 전술을 건의하여 승리에 공헌한 바가 많았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나라에서 내리는 상을 굳이 사양하였고, 후에 중추부사에 증직되었다.
이것은 1592∼1598년까지의 일기로 건권은 표지 뒷면에 임진왜란 당시 참전한 영상 이하 여러 관리들의 좌목(座目:자리의 차례를 적은 목록)이 있고, 다음에 ‘임진변생후일록’이라는 제목 아래에 그날그날 보고 듣고 겪은 일들을 적고 있다. 다만 임진기사는 날마다 기록하였고, 1593년에서 1598년까지는 연월중심으로 중요한 사건만 적었다.
곤권은 임진왜란의 시작과 하루하루의 기록, 통문 등을 기록하게 된 이유를 적고, 이어 7년 동안에 있었던 중요한 교서, 통문, 격문 등을 고스란히 싣고 있다. 1592년 4월 14일 임진왜란이 시작된 날로부터 시작하여 그해 연말까지는 약 10일간 기록하지 아니한 것을 제외하면 완전하게 적혀있다.
이 책은 임진왜란 연구의 매우 귀중한 사료로 평가되며,‘정만록’이라는 책이름이 선조임금이 정해준 것이라는 점에서 자료로서의 가치가 더해진다.
※현재 한국국학진흥원에 위탁보관 중
정보
종목별 정번호 보물 제880호
명칭 정만록(征蠻錄)
분류 전적류
수량 2권2책
지정일 1986.10.15
소재지 경북 의성군 의성읍 상리리 579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경주이씨문중
관리자 이진우
내용소개조선 선조 때 경상감사의 막하 참모였던 이탁영(1541∼1610)의 일기로 건(乾)·곤(坤)의 순서를 단 2권 2책으로 되어 있다. 이탁영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순찰사였던 김수의 막하로 들어가 참모로 활동했으며, 1593년에는 학봉 김성일의 막하에서 전쟁의 여러 전술을 건의하여 승리에 공헌한 바가 많았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나라에서 내리는 상을 굳이 사양하였고, 후에 중추부사에 증직되었다.
이것은 1592∼1598년까지의 일기로 건권은 표지 뒷면에 임진왜란 당시 참전한 영상 이하 여러 관리들의 좌목(座目:자리의 차례를 적은 목록)이 있고, 다음에 ‘임진변생후일록’이라는 제목 아래에 그날그날 보고 듣고 겪은 일들을 적고 있다. 다만 임진기사는 날마다 기록하였고, 1593년에서 1598년까지는 연월중심으로 중요한 사건만 적었다.
곤권은 임진왜란의 시작과 하루하루의 기록, 통문 등을 기록하게 된 이유를 적고, 이어 7년 동안에 있었던 중요한 교서, 통문, 격문 등을 고스란히 싣고 있다. 1592년 4월 14일 임진왜란이 시작된 날로부터 시작하여 그해 연말까지는 약 10일간 기록하지 아니한 것을 제외하면 완전하게 적혀있다.
이 책은 임진왜란 연구의 매우 귀중한 사료로 평가되며,‘정만록’이라는 책이름이 선조임금이 정해준 것이라는 점에서 자료로서의 가치가 더해진다.
※현재 한국국학진흥원에 위탁보관 중
정보
종목별 정번호 보물 제880호
명칭 정만록(征蠻錄)
분류 전적류
수량 2권2책
지정일 1986.10.15
소재지 경북 의성군 의성읍 상리리 579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경주이씨문중
관리자 이진우
내용소개조선 선조 때 경상감사의 막하 참모였던 이탁영(1541∼1610)의 일기로 건(乾)·곤(坤)의 순서를 단 2권 2책으로 되어 있다. 이탁영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순찰사였던 김수의 막하로 들어가 참모로 활동했으며, 1593년에는 학봉 김성일의 막하에서 전쟁의 여러 전술을 건의하여 승리에 공헌한 바가 많았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나라에서 내리는 상을 굳이 사양하였고, 후에 중추부사에 증직되었다.
이것은 1592∼1598년까지의 일기로 건권은 표지 뒷면에 임진왜란 당시 참전한 영상 이하 여러 관리들의 좌목(座目:자리의 차례를 적은 목록)이 있고, 다음에 ‘임진변생후일록’이라는 제목 아래에 그날그날 보고 듣고 겪은 일들을 적고 있다. 다만 임진기사는 날마다 기록하였고, 1593년에서 1598년까지는 연월중심으로 중요한 사건만 적었다.
곤권은 임진왜란의 시작과 하루하루의 기록, 통문 등을 기록하게 된 이유를 적고, 이어 7년 동안에 있었던 중요한 교서, 통문, 격문 등을 고스란히 싣고 있다. 1592년 4월 14일 임진왜란이 시작된 날로부터 시작하여 그해 연말까지는 약 10일간 기록하지 아니한 것을 제외하면 완전하게 적혀있다.
이 책은 임진왜란 연구의 매우 귀중한 사료로 평가되며,‘정만록’이라는 책이름이 선조임금이 정해준 것이라는 점에서 자료로서의 가치가 더해진다.
※현재 한국국학진흥원에 위탁보관 중
정보
종목별 정번호 보물 제880호
명칭 정만록(征蠻錄)
분류 전적류
수량 2권2책
지정일 1986.10.15
소재지 경북 의성군 의성읍 상리리 579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경주이씨문중
관리자 이진우
내용소개조선 선조 때 경상감사의 막하 참모였던 이탁영(1541∼1610)의 일기로 건(乾)·곤(坤)의 순서를 단 2권 2책으로 되어 있다. 이탁영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순찰사였던 김수의 막하로 들어가 참모로 활동했으며, 1593년에는 학봉 김성일의 막하에서 전쟁의 여러 전술을 건의하여 승리에 공헌한 바가 많았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나라에서 내리는 상을 굳이 사양하였고, 후에 중추부사에 증직되었다.
이것은 1592∼1598년까지의 일기로 건권은 표지 뒷면에 임진왜란 당시 참전한 영상 이하 여러 관리들의 좌목(座目:자리의 차례를 적은 목록)이 있고, 다음에 ‘임진변생후일록’이라는 제목 아래에 그날그날 보고 듣고 겪은 일들을 적고 있다. 다만 임진기사는 날마다 기록하였고, 1593년에서 1598년까지는 연월중심으로 중요한 사건만 적었다.
곤권은 임진왜란의 시작과 하루하루의 기록, 통문 등을 기록하게 된 이유를 적고, 이어 7년 동안에 있었던 중요한 교서, 통문, 격문 등을 고스란히 싣고 있다. 1592년 4월 14일 임진왜란이 시작된 날로부터 시작하여 그해 연말까지는 약 10일간 기록하지 아니한 것을 제외하면 완전하게 적혀있다.
이 책은 임진왜란 연구의 매우 귀중한 사료로 평가되며,‘정만록’이라는 책이름이 선조임금이 정해준 것이라는 점에서 자료로서의 가치가 더해진다.
※현재 한국국학진흥원에 위탁보관 중
정보
종목별 정번호 보물 제880호
명칭 정만록(征蠻錄)
분류 전적류
수량 2권2책
지정일 1986.10.15
소재지 경북 의성군 의성읍 상리리 579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경주이씨문중
관리자 이진우
내용
김소라 2014-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