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로 이동 주 메뉴로 이동 하단 정보로 이동

도지정문화재

도지정문화재 전경

의성향교

의성 향교(義城鄕校)는 조선 시대 지역 유생들이 머물며 수학한 교육 기관으로, 1545년(태조 3)에 건립된 것으로 전해진다. 건립 이후 많은 유학자를 배향하였으며 향교 내에 대성전을 두어 공자를 비롯한 선현들에 대한 제사를 지내는 제향적 기능도 담당하였다.

주소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향교길 57

전화번호054-830-6952

기본정보

의성 향교(義城鄕校)는 조선 시대 지역 유생들이 머물며 수학한 교육 기관으로, 1545년(태조 3)에 건립된 것으로 전해진다. 건립 이후 많은 유학자를 배향하였으며 향교 내에 대성전을 두어 공자를 비롯한 선현들에 대한 제사를 지내는 제향적 기능도 담당하였다. 교육과 제사를 위해 향교를 출입하던 의성의 재지 사족이 이곳에서 향론을 형성하는 등 향촌 자치 기구로 활용하기도 하였다.]성 향교는 제향 공간인 대성전이 동측 전방의 높은 터에, 강학 공간인 명륜당은 서측 후방의 낮은 터에 각각 별개의 토담 속에 자리 잡고 있는 좌묘우학(左廟右學)의 배치 형태를 보인다.

대성전은 조선 중기 건축물로, 전면 5칸, 측면 3칸 규모의 익공계 맞배지붕 건물이다. 공자를 비롯한 5성[공자·안자·증자·자사·맹자], 송조의 4현[주렴계·정명도·정이천·주자], 해동 18현[신라의 설총·최치원, 고려의 안향·정몽주, 조선의 김굉필·정여창·조광조·이언적·이황·김인후·성혼·이이·조헌·김장생·김집·송준길·송시열·박세채]이 모셔져 있다. 동·서무는 없다. 경내의 정면과 측면에 사주문을 두어 출입하였다. 현재 대성전 지붕에는 1681년의 것으로 보이는 ‘강희 이십년 신유 사월 일 의성관(康熙二十年辛酉四月日義城官)’ 기와와 1890년의 것으로 파악되는 ‘경술 윤 이월 의성관……(庚戌閏二月義城官……)’·‘강희 이십년 신유 사월 일 의성관(康熙二十年辛酉四月日義城官)’ 기와 등 다수의 명문와가 남아 있다.

명륜당은 조선후기 건축물로, 전면 5칸, 측면 2칸 규모의 익공계 팔작지붕 건물이다. 명륜당 내에는 「의성 향교 학자기(義城鄕校學資記)」·「학령(學令)」 등 다수의 기문이 걸려 있다. 명륜당 앞에 있는 서재는 허물어지고 동재만 남아 있었으나 1991년에 서재를 신축하였다. 누문인 광풍루는 전면 5칸, 측면 3칸 규모로 익공계 맞배지붕의 중층 누각 건물이다. 이층에 계자난간을 둘렀다. 상층 내부에는 「의성 향교 광풍루 중수기(義城鄕校光風樓重修記)」가 걸려 있으며, 전면 어칸 상부에 ‘광풍루(光風樓)’라는 현판을 달았다. 이 밖에 교직사, 비각, 화장실, 협문 3동 등이 있다.

상세내용

상세내용 정보를 나타내는 테이블
지정번호 지방유형문화재 제150호
지정일 : 1982.02.24
추가사항 Tip 디지털문화대전 http://uiseong.grandculture.net

지도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