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로 이동 주 메뉴로 이동 하단 정보로 이동

도지정문화재

도지정문화재 전경

의성 내산리석불좌상

의성 내산리 석불 좌상의 전체 높이는 167㎝, 불두 높이는 62㎝이다. 민머리의 소발(素髮)에 정수리에 상투 모양의 육계(肉髻)가 큼직하게 솟아 있는 머리 모양을 하고 있다.

주소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내산리 산25

전화번호054-830-6952

기본정보

의성 내산리 석불 좌상의 전체 높이는 167㎝, 불두 높이는 62㎝이다. 민머리의 소발(素髮)에 정수리에 상투 모양의 육계(肉髻)가 큼직하게 솟아 있는 머리 모양을 하고 있다. 양쪽 귀와 머리 우측부가 훼손되었으며, 얼굴에서도 두 눈과 코, 입의 훼손이 심하여 원형이 뚜렷하지 않다. 양 볼에 통통하게 살이 올라 전체적으로 얼굴형은 동그랗고 비교적 좁은 이마에는 별도의 보주를 박았던 백호공(白毫孔)이 뚜렷하게 남아 있다.

법의는 양 어깨를 감싸며 내려오는 통견(通肩)으로 옷 주름은 가슴 중앙에서 V자 모양으로 모아지는데, 마치 한복 깃처럼 왼쪽 깃이 위로 가도록 여미어서 있다. 목 둘레를 따라 엄액의(掩腋衣)가 타원형으로 표현되어 있다. 소매를 걷은 것처럼 팔 중간까지만 걸쳐진 소매자락은 하체로 내려와 무릎 아래로 연결되어 있으며, 어깨부터 가슴을 타고 흘러내린 옷 주름은 결가부좌한 무릎을 덮고 흘러내린다. 옷 주름의 선 새김은 전체적으로 굵고 도식적으로 표현되어 있어 두텁고 무겁게 느껴지며 불상의 뒷면 등 뒤까지 연결되어 있다.

손 모양은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해서 배꼽 앞에 놓고, 오른손은 손바닥을 무릎에 대고 손가락으로 땅을 가리키고 있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나타내고 있는데, 왼손 손바닥 위에는 커다란 약그릇 같은 것을 얹고 있어 약사여래상임을 알 수 있다. 전체적인 비례, 조각 양식 등을 볼 때 고려 시대 불상으로 추정된다.

상세내용

상세내용 정보를 나타내는 테이블
지정번호 문화재자료 305
지정일 : 1995.06.19
추가사항 Tip 디지털문화대전 http://uiseong.grandculture.net

지도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