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광명소

470_1.jpg 470_2.jpg 470_3.jpg 470_4.jpg 470_5.jpg 470_6.jpg
고운사 연수전

지정번호 : 470 수량 : 1동 소유자 : 고운사 지정일 : 2013-04-08

  • 주소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길 415

상세정보

고운사 연수전은 고운사에 딸린 건물이다. 영조 20년1744 영조가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가는 것을 기념하고, 왕실의 혈통과 역사를 적은 어첩御牒**을 보관하기 위해 1744년에 지었다.

연수전은 절의 다른 건물과 달리 홀로 정남쪽을 바라보고 있다. 앞에는 절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솟을삼문***을 설치하고, 만세문이라는 현판을 붙여 놓았다. 정면 3칸, 옆면 3칸 크기의 ‘回’자형 정사각형 건물로, 가운데 칸에만 문과 벽을 만들어 어첩을 보관하고 있다. 나머지는 개방형으로 가운데에 방 1칸을 두고 사방으로 반 칸 규모의 툇간****을 두른 독특한 모양이다.

연수전을 가운데 두고 주변으로는 담장을 둘러서 만세문을 통하여서만 출입을 할 수 있는 독립적인 공간으로 만들었는데, 사당과 비슷한 형식이다.

고운사 연수전에는 왕의 위상과 무병장수, 부귀영화 등을 상징하는 화려한 단청과 벽화가 잘 보존되어 있다. 그리고 조선 시대 왕실과 관련된 건물이 사찰 내에 존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 기로소 : 조선 시대에, 70세가 넘는 정이품 이상의 문관들을 예우하기 위하여 설치한 기구. 태조 3년(1394)에 설치하여 영조 41년(1765)에 독립관서가 되었고, 이때부터 임금도 참여하였다.
  • ** 어첩 : 예전에, 왕실의 계보를 대강 간추려서 적은 책을 이르던 말.
  • *** 솟을삼문 : 문이 세 칸인 맞배지붕의 대문에서, 가운데 문의 지붕을 좌우 대문보다 한 단 높게 세운 대문.
  • **** 툇간:안둘렛간 밖에다 딴 기둥을 세워 만든 칸살.

현재 페이지의 정보 및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등록하기
  • 담당부서 : 관광축제
  • 전화번호 : 054-830-6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