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탭
기상개황
- 지표상의 한서(寒暑), 청우(淸雨), 조습(燥濕) 등 기후는 기온, 기압, 일조, 눈, 비, 구름, 바람 등에 따라 변동 되는데 그 지방의 위도, 해발고도, 지형에 의해서도 많은 영향을 받는다.
- 의성군은 영남권에 속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 싸여 있어 바람의 영향을 적게 받으며 내륙의 분지로 되어 있어 대륙성기후의 영향도 적게 받아 한서(寒暑)의 폭이 매우 심하다.
- 전국의 일기예보에서 의성지방은 여름에 가장 덥고, 겨울에는 가장 추운 곳으로 보도되기도 한다.
- 의성은 흐린날과 강수량이 적으며, 일조량과 증발량이 많아 한건한 지대로 손꼽힌다. 첫 서리가 내리고 첫 얼음이 얼기 시작하는 시기가 타지역에 비하여 빠르며 이러한 추운 현상이 늦게까지 지속되므로 겨울이 긴 편이다.
- 기상관측상의 통계는 확인할 수 없으나 인근 안동댐, 임하댐이 축조되면서 안개일수가 많아졌고, 겨울철의 기온이 많이 내려간다고 느끼고 있다. 여름에는 국지적으로 우박도 자주 내린다.
- 금성면의 금성산은 휴화산(休火山)으로서 옛날 화산폭발로 융기되었는데 주위에 작은 산들을 만들어 놓았다.
기온
- 의성지방 연간 평균기온은 1995년이 10.4℃이고, 1996년이 11℃이며 최근25년간의 평균기온이 11℃이다.
- 우리나라의 연 평균기온은 내륙지방이 해안지대보다 낮다. 전국 11℃의 등온선을 보면 강원도 고성에서 경기도 양평으로 남하했다가 가평으로 북상하여 개성을 잇는 선이 된다.
- 의성은 위도상으로 대전과 비등하며 12℃선상에 위치하나 1℃가 낮은 특이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 1972년 기상관측 이래 한서의 극치를 보면 1981년 -23.3℃이고, 1994년이 38.5℃로서 그 차이는 무려 61.8℃에 달하고, 1월의 평균온도가 가장 낮은 해는 1981년이 -7.8℃이고, 7월의 가장 높은 온도는 1994년의 27.8℃로서 그 차이는 35,6℃가 된다.
- 의성지방의 기온은 연 평균기온이 낮고, 겨울에는 춥고, 여름에는 더우며 연교차와 일교차가 심한 지방이다.
강수량
- 강수량은 기단(氣團)과 전선(前線)의 영향을 받는데 의성지방은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사이에 끼어 있는 분지 탓으로 지형적인 영향으로 강수량은 전국에서도 매우 적은 한건한 지대이다.
- 연평균 강수일은 92일이다. 1972년부터 1996년까지 25년간 관측결과 연간 강수량이 가장 많은 해가 1972년의 1,290.8mm이고, 가장 적은 해가1994년의 505.1mm로서 평균 강수량이 961.5mm에 불과하며 전국 평균 1,200∼1,300mm에 비하여 매우 부족하다.
페이지 만족도조사
- 담당부서 : 총무새마을과
- 전화번호 : 054-830-6538
- 최종수정일 : 202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