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질환은 인체의 어느 곳에나 발생할 수 있는 감염성이며 감염성인 급성 또는 만성질환입니다. 결핵은 혈류나 임파관을 따라 몸의 어느 기관에나 전파될 수가 있는데 페가 가장 침범을 잘 받습니다.
02
결핵관리
결핵의 증상
결핵은 상당히 진행된 경우에도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증상이 나타나더라도 발열, 피로감, 식욕부진, 체중감소 등의 비 특이적인 전신증상이 많습니다. 호흡기 증상은 기침이 가장 흔하고 가래는 나오지 않거나 만성적인 화농성 객담이 나올 수 있으며, 그 외에도 흉통, 객혈, 호흡곤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호흡기 증상이 2주 이상 지속시에는 결핵균 검사, 흉부 X-선 촬영 등을 하도록 권유합니다.
결핵의 발견 및 관리
방법 : 결핵환자 발견을 위하여 객담도말검사와 흉부 X선 촬영.
등록대상
객담도말검사와 배양검사에서 균양성인 환자, X-선 검사에서 활동성 결핵으로 판명된 환자.
타 의료기관에서 의뢰된 환자, 병무청 및 민간 병. 의원에서 유소견자로 통보된 자.
관리 : 완치시까지 투약 및 보건교육.
2주이상 계속 기침을 하거나 가래가 나오면 언제든지 보건소에 오셔서 무료로 흉부 X-선 촬영과 가래검사를 받아 결핵을 조기에 발견 치료합시다.
폐결핵, 폐기종, 페렴등 흉부에 나타 날 수 있는 질환에 대하여 검사
검사내용
일반 외래 환자 검사
결핵 환자 및 가족 등 정기 검사
식품업소 건강진단수첩(구,보건증)발급시 검사
검사방법
디지털 방사선 장비를 도입해 폐결핵진단을 위한 1차 간접촬영을 생략하고 모든 민원에 대해 직접촬영으로 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