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열기
보건소소개
진료 및 민원
보건사업
출산통합지원센터
감염병 관리
의약업무 안내
보건위생
진료안내
정신건강복지센터
치매안심센터
정보마당
보건소소개
활력넘치는
희망
의
성
인사말
현황 및 연혁
보건기관안내
조직 및 업무안내
찾아오시는길
진료 및 민원
활력넘치는
희망
의
성
보건소당직의료기관운영
제증명발급안내
예방접종
검사안내
인·허가안내
자가진단테스트
예방접종안내
영유아 예방접종
성인 예방접종
보건사업
활력넘치는
희망
의
성
건강증진사업
모자보건
출산지원
심뇌혈관질환관리
의료비지원
국가암검진사업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사업
금연
건강생활실천사업
구강
영양플러스사업
건강마을조성사업
임산부 및 영유아 건강관리
난임(불임)부부 지원 및 경북형 난임부부 지원사업
미숙아/선천성 이상아 지원
신생아 난청 조기진단 사업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
청소년 산모 의료비 지원사업
고위험임산부 의료비 지원
영구피임(정관·난관시술) 복원시술비 지원사업
산모,신생아건강관리지원
저소득층 가정 지원 사업
아이들 행복 꿈터
장난감 목록
출산ㆍ육아용품 목록
희귀 질환자 지원
기타 의료비지원
암환자 의료비지원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지역사회중심재활
재가암환자관리
출산통합지원센터
활력넘치는
희망
의
성
시설안내
장난감 및 육아용품 대여소
장난감 및 육아용품 목록
프로그램 안내
육아지도 방문서비스 사업
맘앤베이비 사랑꾸러미 사업
영유아 건강관리
연령별 발달특징
갤러리
출산통합지원센터 블로그
장난감 목록
육아용품 목록
감염병 관리
활력넘치는
희망
의
성
감염병예방관리
방역관리
에이즈
성매개감염병
가을철3대발열성질환
결핵
한센
B형간염수직감염
의약업무 안내
활력넘치는
희망
의
성
병·의원 및 약국현황
휴일의료기관약국
안전상비 의약품 판매업소
자동제세동기설치현황
보건위생
활력넘치는
희망
의
성
식품위생
공중위생
인 · 허가양식
진료안내
활력넘치는
희망
의
성
진료안내
정신건강복지센터
활력넘치는
희망
의
성
정신건강복지센터 안내
생애주기별 정신건강증진사업
중증정신질환 관리사업
자살예방사업
마음안심버스 운영
정신건강정보
치매안심센터
활력넘치는
희망
의
성
치매안심센터 소개
치매등록관리 사업
치매검진 사업
치매안심센터 교육프로그램
치매 치료관리비 지원 사업
바로가기
정보마당
활력넘치는
희망
의
성
공지사항
자료실
입찰정보
보건뉴스
건강정보
질문&답변
보건소소개
인사말
현황 및 연혁
보건기관안내
조직 및 업무안내
찾아오시는길
진료 및 민원
보건소당직의료기관운영
제증명발급안내
예방접종
- 예방접종안내
- 영유아 예방접종
- 성인 예방접종
검사안내
인·허가안내
자가진단테스트
보건사업
건강증진사업
- 금연
- 건강생활실천사업
- 구강
- 영양플러스사업
- 건강마을조성사업
모자보건
- 임산부 및 영유아 건강관리
- 난임(불임)부부 지원 및 경북형 난임부부 지원사업
- 미숙아/선천성 이상아 지원
- 신생아 난청 조기진단 사업
-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
- 청소년 산모 의료비 지원사업
- 고위험임산부 의료비 지원
- 영구피임(정관·난관시술) 복원시술비 지원사업
출산지원
- 산모,신생아건강관리지원
- 저소득층 가정 지원 사업
- 아이들 행복 꿈터
- 장난감 목록
- 출산ㆍ육아용품 목록
심뇌혈관질환관리
의료비지원
- 희귀 질환자 지원
- 기타 의료비지원
- 암환자 의료비지원
국가암검진사업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 지역사회중심재활
- 재가암환자관리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사업
출산통합지원센터
시설안내
장난감 및 육아용품 대여소
장난감 및 육아용품 목록
- 장난감 목록
- 육아용품 목록
프로그램 안내
육아지도 방문서비스 사업
맘앤베이비 사랑꾸러미 사업
영유아 건강관리
연령별 발달특징
갤러리
출산통합지원센터 블로그
감염병 관리
감염병예방관리
방역관리
에이즈
성매개감염병
가을철3대발열성질환
결핵
한센
B형간염수직감염
의약업무 안내
병·의원 및 약국현황
휴일의료기관약국
안전상비 의약품 판매업소
자동제세동기설치현황
보건위생
식품위생
공중위생
인 · 허가양식
진료안내
진료안내
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건강복지센터 안내
생애주기별 정신건강증진사업
중증정신질환 관리사업
자살예방사업
마음안심버스 운영
정신건강정보
치매안심센터
치매안심센터 소개
치매등록관리 사업
치매검진 사업
치매안심센터 교육프로그램
치매 치료관리비 지원 사업
바로가기
정보마당
공지사항
자료실
입찰정보
보건뉴스
건강정보
질문&답변
감염병 관리
감염병예방관리
방역관리
에이즈
성매개감염병
가을철3대발열성질환
결핵
한센
B형간염수직감염
성매개감염병
>
감염병 관리
>
성매개감염병
01
성매개 감염병이란?
성매개 감염병은 성행위로 감염되는 접촉성 감염병으로 본인은 물론 2세에게도 영향을 미치는 병이므로 보건소에서는 성매개 감염병에 관련된 질병들을 예방하기 위해 검사를 연중 실시하고 있습니다.
02
검사 및 치료
대 상
지역주민 누구나
기 간
연중
검진항목
매독, 임질, 비임균성요도염 등
03
성매개 감염병의 종류
매독이란?
매독은 감염 단계별로 다양한 임상 증세를 나타내는 질환이다.
원인균은 Treponema pallidum은 나선균으로 국부감염부위에서 증시하여 감염 후 2 ~ 10주내에 감염부위에 구진과 경성하감이라는 궤양이 나타난다.
매독은 크게 선천성매독과 후천성 매독으로 분류되며 후천성 매독은 1,2,3 기로 구별된다.
1기 매독은 매독의 초기로 경성하감은 여성보다 남성에게 흔히 나타난다. 노출된 후 3 ~ 4주까지는 병소가 나타나지 않는다 초기 병소는 4 ~ 6 주일이면 자연적으로 완화된다.
2기 매독의 치료는 5 ~ 7일 이상 700만 ~ 800만 단위의 펜실린을 투여한다.
페니실린에 민감한 환자는 기타항생제가 사용된다 그리고 국소적인 청결을 필수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3기 매독의 고무종 혹은 매독성 궤양은 크고 완만한 괴사성 궤양을 나타내며 내며 주위에 경변과 부종을 일으키고 질과 직장 사이에 누공을 일으킨다.
임질이란?
Neisseria gonorrhoeae에 의해 발생하며 성적 접촉에 의해 감염되어 요도염 자궁경부염 난관염 등의 증세를 나타낸다.
여성에서는 불현성 감염이 많다.
비임균성 요도염 또는 질염이란?
Clamydia trachomatis가 원인균이며 최근 세계적으로 발생율이 가장 높은 성매개 감염병이다.
요도염 질염을 주로 일으키며 자각 증세가 없는 불현성감염의 경우가 50%가 넘어 진단을 위해 실험실 검사가 반드시 필요하다.
발견되면 치료가 가능하나 방치할 경우 골반염 불임 등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클라미디아증이란?
Clamydia trachomatis가 원인균이며 최근 세계적으로 발생율이 가장 높은 성매개 전염병이다.
요도염 질염을 주로 일으키며 자각 증세가 없는 불현성감염의 경우가 50%가 넘어 진단을 위해 실험실 검사가 반드시 필요하다.
발견되면 치료가 가능하나 방치할 경우 골반염 불임 등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성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한 기본적인사항은?
성매개 감염병에 감염되지 않은 단일 배우자만 성적 관계를 가지도록 할 것.
정확하게 지속적으로 남성용 콘돔을 사용할 것.
정맥주사시 깨끗한 주사기를 사용할 것.
가능한 한 성적관계를 갖는 연령을 늦출 것.
처음으로 성교를 갖는 연령이 어릴수록 성매개 감염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